맨위로가기

교황 알렉산데르 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1492년부터 1503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르네상스 시대 교황청의 족벌주의, 권력 남용, 문란한 사생활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1431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볼로냐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전공했으며, 외삼촌인 교황 갈리스토 3세의 도움으로 교황청에 진출하여 추기경을 거쳐 교황에 선출되었다. 알렉산데르 6세는 자신의 가문을 위해 족벌주의 정책을 펼치고, 프랑스와 스페인 등과 동맹을 맺어 이탈리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예술과 학문을 후원하고, 유대인들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치기도 했으나, 사생아를 많이 낳고 딸 루크레치아와의 근친상간 의혹을 받는 등 부패한 사생활로 비판받았다. 알렉산데르 6세의 말년은 자녀들과의 갈등, 프랑스와 스페인 간의 전쟁 등으로 혼란스러웠으며, 1503년 열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 출신 교황 - 교황 갈리스토 3세
    교황 갈리스토 3세는 스페인 발렌시아 출신으로 알폰소 데 보르자라는 본명을 가졌으며, 1455년부터 1458년까지 재임하면서 오스만 제국에 맞선 십자군 결성 노력, 잔 다르크 복권 재판 지시, 연고주의 정책 등의 활동을 펼친 제209대 교황이다.
  • 발렌시아 대교구장 - 교황 갈리스토 3세
    교황 갈리스토 3세는 스페인 발렌시아 출신으로 알폰소 데 보르자라는 본명을 가졌으며, 1455년부터 1458년까지 재임하면서 오스만 제국에 맞선 십자군 결성 노력, 잔 다르크 복권 재판 지시, 연고주의 정책 등의 활동을 펼친 제209대 교황이다.
  • 발렌시아 대교구장 - 체자레 보르자
    체사레 보르자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사생아로, 아버지의 권력을 이용해 교황군 총사령관이 되어 이탈리아 통일을 꿈꿨으며,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서 이상적인 군주로 묘사되기도 했지만 권모술수에 능하고 잔혹한 면모를 보여 엇갈린 평가를 받는 15세기 말-16세기 초 이탈리아의 로마냐 공국 통치자이자 군인이다.
교황 알렉산데르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황 알렉산데르 6세 보르지아의 초상화
페드로 베루게테가 그린 초상화 (1495년경, 캔버스에 유채, 바티칸 미술관)
이름알렉산데르 6세
별칭발렌티누스 ("발렌시아 사람")
로마자 표기Alliksandeuru Yukse
종교 지도자 정보
직책로마 주교
소속 교회가톨릭교회
임기 시작1492년 8월 11일
임기 종료1503년 8월 18일
선임자인노첸시오 8세
후임자비오 3세
서품1468년
주교 서임1471년 10월 30일
추기경 임명1456년 9월 17일
추기경 임명자갈리스토 3세
개인 정보
출생 이름로데리크 데 보르자 (로드리고 보르하)
로마자 표기Rodeurik De Boreuja
출생일1431년경
출생지사티바, 발렌시아 왕국, 아라곤 연합왕국
사망일1503년 8월 18일
사망지로마, 교황령
매장지산타 마리아 인 몬세라토 델리 스파뇰리, 로마
국적발렌시아 왕국, 아라곤 - 스페인
종교가톨릭교회
부모조프레 데 보르자 이 에스크리바
이사벨 데 보르자
자녀피에르 루이지
지로라마
이사벨라
조반니
체사레
루크레치아
조프레
기타 (논란 있음)
교육볼로냐 대학교
이전 직책
문장
알렉산데르 6세 문장
알렉산데르 6세 문장

2. 출생과 가문

로드리고 보르자는 1431년 1월 1일 오늘날 스페인에 해당하는 아라곤 연합 왕국 발렌시아 인근의 하티바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호프레 란조르 이 에스크리바(1437년 3월 24일 사망)이며, 모친은 이사벨 데 보르자 이 카바닐루(1468년 10월 19일 사망)이다. 1455년 외삼촌 알폰소 데 보르자가 교황 갈리스토 3세로 선출되자, 로드리고는 어머니의 성을 따라 보르자 가문에 입적되었다.[99][100] 그의 사촌이자 갈리스토 3세의 조카인 루이스 데 밀라 이 데 보르하는 추기경이 되었다.

3. 교육과 교황청 진출

로드리고 보르자는 볼로냐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전공하였는데, 단순한 법학 박사가 아니라 ‘가장 뛰어나고 분별력이 있는 법학자’라는 극찬을 받고 졸업하였다.[101] 그의 외삼촌이 교황 갈리스토 3세로 즉위하자, 그는 즉시 부제로 서품받고 이어서 1456년 25세의 나이에 산 니콜라 인 카르체레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다음 해에 그는 갈리스토 3세에 의해 교황청 상서원장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1468년 로드리고 보르자는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1471년에는 주교 서품을 받음과 동시에 알비노의 주교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14] 그는 교황청에서 근무하는 동안 갈리스토 3세, 비오 2세, 바오로 2세, 식스토 4세, 인노첸시오 8세 등 총 다섯 명의 교황을 보필하였다. 이 시기에 로드리고 보르자는 상당한 수준의 사무 경험을 쌓은 것은 물론 엄청난 부를 축적하였으며, 유력자들과 골고루 인맥을 쌓아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15]

4. 발렌시아 대교구장

1455년 로드리고 보르자는 외삼촌 알폰소 데 보르자가 교황 갈리스토 3세로 즉위하면서 발렌시아 교구장직을 물려받았다.[99][100] 교황 인노첸시오 8세 선종 16일 전, 로드리고는 교황에게 발렌시아 교구를 관구 및 대교구로 승격시켜 줄 것을 요청했다. 발렌시아 교구가 대교구로 승격되면서, 로드리고 보르자는 초대 발렌시아 대교구장이 되었다.[29]

발렌시아 대교구장 관저 밖에 있는 석판.


로드리고 보르자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로 즉위한 후, 사생아 체사레 보르자를 후임 발렌시아 대교구장에 임명했다. 발렌시아 대교구의 제3대 대교구장은 후안 데 보르자 란조르 데 로마니, 제4대 대교구장은 페드로 루이스 데 보르자로, 모두 알렉산데르 6세의 종손이다.[29]

발렌시아 대교구장 관저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적힌 석판이 있다.



알렉산데르 6세

1492년 7월 9일 교황 인노첸시오 8세는

보르자 추기경과 가톨릭 왕들의 요청에 따라

발렌시아 교구를 관구로 승격하였다.

그리하여 보르자의 로드리고는

초대 발렌시아 대교구장이 되었다.

1492년 - 1503년


5. 교황 선출

1492년 교황 선거 결과, 인노첸시오 8세의 후임으로 알렉산데르 6세가 선출되었다. 1492년 7월 25일 인노첸시오 8세가 선종하자 콘클라베가 소집되었고,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로드리고 보르자 추기경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8월 11일, 보르자 추기경이 다수 표를 얻어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8월 26일 대관식이 거행되었다.[102]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문장


보르자 추기경이 스포르차 추기경 등 많은 추기경을 돈으로 매수하여 교황에 선출되었다는 소문이 돌았고, 스포르차 추기경은 네 마리 노새가 끄는 수레에 실릴 정도의 은을 뇌물로 받았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는 입증되지 않았으며, 교황직을 돈으로 샀다는 비난은 근거가 없다는 견해가 있다.[102]

콘클라베에 참여했던 조반니 디 로렌초 데 메디치 추기경이 보르자의 선출에 대해 “탐욕스러운 늑대의 손아귀에 놓여 있다"라고 비판했다는 주장은[103] 메디치 추기경의 말을 잘못 인용한 것이다. 실제로는 “도망쳐라. 우리는 세계의 손바닥 안에 있다.”라고 말했다.[104] 또한 당시 메디치 추기경은 16세에 불과했기에, 세간에 알려진 의견을 표명했을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대체적인 견해이다.[105]

6. 교황 재위 기간의 주요 사건

알렉산데르 6세는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중요한 사건들을 겪었다. 그는 자신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여러 나라와 동맹을 맺으려 노력했다. 1494년 당시 밀라노 공국을 다스리던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프랑스샤를 8세와 동맹을 맺었고, 알렉산데르 6세 역시 샤를 8세와의 동맹이 필요했다.[33]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도 1세가 밀라노의 정당한 통치자인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를 지원하며 루도비코 스포르차를 위협하자, 알렉산데르 6세는 나폴리 정복을 계획하던 샤를 8세를 지지했다.[33]

그러나 알렉산데르 6세는 1493년 7월, 스페인 대사의 중재로 나폴리에 대한 적대 정책을 철회하고, 자신의 아들 호프레를 페르디난도 1세의 손녀 산차 다라고나와 결혼시켜 양국 간 평화를 이루었다. 추기경단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12명의 추기경을 새로 임명했는데, 여기에는 그의 18세 아들 체사레 보르자와 그의 정부 줄리아 파르네세의 오빠인 알레산드로 파르네세(훗날의 교황 바오로 3세)도 포함되어 큰 논란을 일으켰다.

1494년 1월 25일, 페르디난도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폰소 2세가 왕위를 계승하자, 샤를 8세는 알폰소 2세의 왕위 계승에 반대하며 자신이 정당한 계승자라고 주장했다. 샤를 8세는 오스만 제국에 맞서는 십자군을 명분으로 로마를 방문하겠다고 했고, 알렉산데르 6세는 이를 허락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이탈리아 침공이 현실화되자 알렉산데르 6세는 알폰소 2세를 나폴리의 왕으로 인정하고 동맹을 맺었다(1494년 7월).[33]

프랑스군이 제노바를 공격하자 나폴리군은 로마냐를 거쳐 밀라노를 공격했지만, 양측 모두 실패했다. 1494년 9월 8일, 샤를 8세는 알프스를 넘어 루도비코 스포르차와 합류했고, 콜론나 가문은 오스티아를 점령했다. 샤를 8세는 1494년 11월 로마로 진군했다.

알렉산데르 6세는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추기경과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2세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로마를 방어하려 했지만, 오르시니 가문이 프랑스군을 허락하면서 정치적으로 고립되어 샤를 8세와 합의했다. 1494년 12월 31일, 샤를 8세는 로마에 무혈 입성했다. 알렉산데르 6세는 샤를 8세가 자신을 폐위시킬까 두려워했지만, 기욤 브리소네를 추기경에 서임하여 샤를 8세의 마음을 돌렸다. 알렉산데르 6세는 오스만 제국의 왕자 을 샤를 8세에게 넘기고, 아들 체사레 보르자를 교황 사절로 프랑스군의 나폴리 원정에 동행시켰다.

1495년 1월 28일, 샤를 8세는 젬과 체사레를 데리고 나폴리로 떠났지만, 두 사람은 스폴레토에서 도망쳤다. 알폰소 2세와 그의 아들 페르디난도 2세는 도주했고, 나폴리 왕국은 쉽게 정복되었다.[2]

1495년 3월 31일, 교황은 신성 로마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밀라노, 스페인과 동맹을 맺었다. 이 동맹은 프랑스를 포위하기 위한 것이었다. 샤를 8세는 5월 12일 나폴리 왕이 되었지만, 곧 프랑스로 철수했다. 프랑스군은 포르노보에서 동맹군과 격전을 벌였지만, 11월에 프랑스로 귀국했다. 이후 페르디난도 2세가 나폴리 왕위에 올랐고, 1496년 그의 사후 삼촌 페데리코 1세가 즉위했다.

도미니코회 수사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교황의 타락을 비난하며 공의회 소집을 주장했다.[107] 알렉산데르 6세는 사보나롤라에게 설교 금지를 요구하고, 피렌체에는 프랑스와의 동맹 파기를 압박했다. 사보나롤라는 피렌체 시민들에게 버림받고 1498년 5월 23일 처형되었다.[108]

1500년 대희년에 알렉산데르 6세는 거룩한 문을 열고 닫는 관습을 제정했다.[111][112] 1499년 성탄 전야에 성 베드로 대성전의 거룩한 문을 열고, 1501년 예수 공현 대축일에 다시 봉인했다.[111]

알렉산데르 6세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신대륙 발견 이후 원주민 노예화에 대한 논란 속에서 비판을 받았다.[114] 그러나 알렉산데르 6세가 생전에 노예 제도를 인정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119]

알렉산데르 6세는 재위 말년, 체사레 보르자의 장수들과 오르시니 가문의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교황군은 패배했지만, 프랑스의 지원 약속으로 반란군은 체사레와 협상했다. 체사레는 배신자들을 처형하고 오르시니 추기경을 체포했다.

나폴리 왕국을 두고 프랑스 왕국과 스페인 왕국 간의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알렉산데르 6세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쪽과 동맹을 맺으려 했다.

1503년 8월, 알렉산데르 6세는 아드리아노 추기경과의 만찬 후 체사레와 함께 열병에 걸려 쓰러졌다.[122] 1503년 8월 18일, 72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공식적인 사인은 말라리아로 알려져 있지만, 독살설도 제기되었다.

6. 1. 족벌주의와 권력 강화

알렉산데르 6세는 자신의 자녀들과 친척들에게 아낌없이 특혜와 영예를 베풀었다. 그는 자신의 아들 체사레 보르자를 17세의 어린 나이에 발렌시아의 대주교로 임명했고, 이후 교황이 되자 발렌시아 대교구장 자리를 물려주었다.[53] 또 다른 아들 조반니 보르자는 보르자 가문의 본거지인 간디아 공작 작위를 승계받았다.[53]

교황은 자신의 자녀들인 간디아 공작과 조프레를 위해 교황령나폴리 왕국의 영토 일부를 떼어내어 다스리게 할 계획을 세웠다.[53] 특히 간디아 공작에게 주어질 영지 중에는 오르시니 가문의 수장인 비르지니오 오르시니가 소유했던 체르베테리와 앙구이야라가 포함되어 있었다.[53]

이러한 족벌주의 정책은 나폴리페르디난도 1세와 교황 선거에서 페르디난도의 지지를 받았던 델라 로베레 추기경(훗날의 교황 율리우스 2세)의 반감을 샀다.[53] 알렉산데르 6세가 나폴리와의 동맹을 맺고 전쟁을 준비하자, 델라 로베레 추기경은 자신의 오스티아 주교구에 주둔하며 교황에게 맞섰다.[53]

6. 2. 프랑스의 침공과 이탈리아 정세

1494년 이탈리아


알렉산데르 6세는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여러 나라와 동맹 관계를 맺었다. 당시 밀라노 공국을 사실상 통치하였던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자신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프랑스의 도움이 필요했다. 그리하여 그는 프랑스 국왕 샤를 8세와 동맹을 맺었으며, 알렉산데르 6세 역시 샤를 8세와의 동맹을 필요로 하였다.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도 1세가 자신의 손녀 이사벨라의 남편이자 밀라노의 합법적인 통치자인 잔 갈레아초 스포르차 공작을 지원하기 위해 루도비코 스포르차를 위협하자, 알렉산데르 6세는 나폴리 정복 계획을 세우고 있었던 샤를 8세를 지지하고 나섰다.[33]

그러나 알렉산데르 6세는 스페인 대사의 중재를 통해 1493년 7월 나폴리 왕국에 대한 적대 정책을 철회하고, 자신의 아들 호프레를 페르디난도 1세의 손녀인 산차 다라고나 공주와 혼인시킴으로써 양국 간의 평화를 이룩하였다.

1494년 1월 25일 페르디난도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폰소 2세가 나폴리의 다음 왕위를 계승하였다. 그러자 프랑스 국왕 샤를 8세가 알폰소 2세의 왕위 계승에 반대하면서 자신이야말로 나폴리 왕위의 정당한 계승자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샤를 8세는 표면상으로는 나폴리 왕국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오스만 제국에 맞서기 위한 십자군이라고 주장하면서 군대를 이끌고 로마를 참배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알렉산데르 6세는 이를 재가하였다. 그러나 프랑스의 이탈리아 침공이 현실화되자 불안해진 알렉산데르 6세는 즉시 알폰소 2세를 나폴리의 정식 국왕으로 인정하고, 자기 아들들의 영지와 알폰소의 영지를 맞교환함으로써 동맹을 맺었다(1494년 7월).[33]

프랑스가 이탈리아를 침공하자 이를 막기 위한 군사적 대응이 뒤따랐다. 프랑스군 함대가 제노바를 공격하자, 나폴리군은 즉시 로마냐를 통과해 밀라노를 공격하였다. 그러나 양측의 군사 원정은 모두 실패로 끝났다. 그리고 그해 9월 8일 샤를 8세는 알프스를 넘어 루도비코 스포르차와 합류하였다. 교황령은 크게 동요하였으며, 강력한 귀족 가문 가운데 하나인 콜론나 가문이 프랑스군의 이름으로 오스티아를 점령하였다. 샤를 8세와 그의 군대는 빠른 속도로 남하하여 피렌체에서 며칠 머문 후에 1494년 11월 로마를 향해 진군하였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알렉산데르 6세는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추기경은 물론 심지어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2세한테까지 도움을 요청하였다. 또한 그는 즉시 군사들을 징집하고 로마를 즉시 방어 태세에 돌입하도록 지시하였지만, 그의 상황은 위태로웠다. 오르시니 가문이 자신들의 성에 프랑스 병사들이 들어오는 것을 허락하면서, 결국 정치적으로 고립된 알렉산데르 6세는 샤를 8세와 합의를 볼 수 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그해 12월 31일 샤를 8세는 자신의 군대와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추기경을 포함한 프랑스파 추기경들을 대동하고 로마에 무혈 입성하였다. 알렉산데르 6세는 샤를 8세가 자신을 성직매매 등의 혐의로 고발하여 즉시 자신을 교황직에서 폐위시키고 새 교황을 지명할 것이라는 생각에 두려워하였다. 하지만 알렉산데르 6세는 샤를 8세의 측근이자 생말로 교구장이었던 기욤 브리소네를 추기경에 서임함으로써 샤를 8세의 마음을 돌리는데 성공하였다. 알렉산데르 6세는 또한 인질로 잡고 있던 오스만 제국의 왕자 을 샤를 8세에게 신병을 인도하고, 자신의 아들 체사레 보르자를 교황 사절로 임명하여 프랑스군의 나폴리 원정에 동행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1495년 1월 28일 샤를 8세는 젬 왕자와 체사레 보르자를 데리고 나폴리로 떠났으나, 두 사람은 스폴레토에서 도망갔다. 나폴리군의 저항은 손쉽게 격파되었으며, 알폰소 2세는 왕위를 자신의 아들 페르디난도 2세에게 물려주고 도주하였다. 하지만 페르디난도 2세 역시 왕위를 버리고 도주하였으며, 덕분에 나폴리 왕국은 예상 외로 손쉽게 정복되었다.[2]

1495년 3월 31일, 교황은 신성 로마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밀라노, 스페인과 동맹을 맺었다. 이 동맹의 명분은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이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를 포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샤를 8세는 5월 12일 나폴리 왕으로 즉위했지만, 곧 프랑스군의 철수를 시작했다.

이탈리아 반도를 북쪽으로 향하는 프랑스군은 포르노보에서 처음으로 동맹군과 교전하여 격전을 벌였지만, 퇴각에 성공하여 11월에 프랑스로 귀국할 수 있었다. 그 후, 스페인의 지원을 받은 알폰소 2세의 아들인 페르디난도 2세가 나폴리 왕위에 올랐고, 1496년 그의 사후, 그의 삼촌인 페데리코 1세가 즉위했다.

6. 3. 사보나롤라와의 갈등

도미니코회 수사이자 강력한 언변을 가진 선동가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교황의 타락과 부패 문제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공의회 소집을 주장했다. 또한 당시 피렌체 공화국을 통치한 메디치 가문에 대해서도 시민들의 복지는 뒷전이고 정부 금고만 채우기에 혈안이 되었다고 비난했다.[107]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처음에는 사보나롤라를 무시하였던 알렉산데르 6세도 차츰 그를 위협적으로 느끼기 시작했다. 알렉산데르 6세는 사보나롤라에게 설교 금지와 교회 조직에 대한 복종을 요구했고, 피렌체에는 프랑스와의 동맹을 파기하도록 여러 차례 압박했다.

알렉산데르 6세에 대한 사보나롤라의 적개심은 개인적인 감정보다는 정치적 수사로 추정되는데, 가령 사보나롤라는 후안 보르자가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알렉산데르 6세에게 "교황 성하, 우리에게 평화와 위로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유일하고 참된 것은 믿음 뿐입니다. … 믿음만이 고독하신 성하께 위로를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라는 내용의 서신을 써서 애도를 표하기도 하였다.[107]

그러나 사보나롤라는 지나친 훈계와 강압적인 생활 방식 요구로 피렌체 시민들에게 버림받았고, 결국 1498년 5월 23일 피렌체 정부로부터 사형을 선고받았다.[108]

6. 4. 대희년 (1500년)

1500년 대희년을 맞이하여,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성탄 전야(크리스마스 이브)에 거룩한 문을 열고 다음 해 예수 성탄 대축일(크리스마스)에 닫는 관습을 제정하였다.[111][112] 그는 자신의 의전관인 요한 부르하르트와 논의한 끝에 1499년 성탄 전야 때 성 베드로 대성전의 거룩한 문을 최초로 열었으며, 나머지 세 총대주교좌 대성전들의 문은 교황의 대리인들이 파견되어 대신 열었다.[111]

당시 기록에 따르면, 알렉산데르 6세는 세디아 게스타토리아라고 불리는 교황 전용 가마를 탄 채 수행원을 동반하고 성 베드로 대성전으로 행렬하였다. 성가대원들이 시편 118장 19-20절을 성가로 부르는 동안 그는 성 베드로 대성전의 거룩한 문 앞으로 나아갔으며, 수행원들이 촛불을 든 채 그 뒤를 따랐다. 교황이 거룩한 문을 세 번 두드리자, 문 너머 대성전 내부에 대기하던 수행원들이 거룩한 문을 바깥쪽으로 열었다. 그리고 교황을 포함한 모든 이가 참회와 속죄의 시기로 넘어간다는 의미에서 열려진 거룩한 문을 통해 대성전 내부로 들어갔다. 알렉산데르 6세는 이와 같은 전례를 공식화하여, 지금까지도 그 전통이 매 희년마다 이어져 오고 있다.[111]

알렉산데르 6세는 거룩한 문을 도로 닫는 특별 전례를 제정하였다. 1501년 예수 공현 대축일에 추기경 두 명이 각각 은빛 벽돌과 금빛 벽돌로 거룩한 문을 다시 봉인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부들이 특별히 만든 주화와 메달을 벽에 설치함으로써 봉인 작업을 마쳤다.[113]

6. 5. 노예 제도에 대한 입장

알렉산데르 6세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신대륙 발견 이후 원주민 노예화에 대한 논란 속에서 비판을 받았다.[114] 1979년 모랄레스 파드론은 교황의 칙서들이 스페인 정부에게 원주민들을 노예로 만들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고 주장하였고,[117] 2005년 민니치는 노예 무역 때문에 원주민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118]

그러나 다른 역사학자들과 바티칸 학자들은 알렉산데르 6세가 생전에 결코 노예 제도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비난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119] 알렉산데르 6세 이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1741년 《Immensa Pastorium》을,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는 1839년 《In Supremo Apostolatus》를 반포하여 노예 제도에 대한 교회의 단죄 입장을 계속 유지하였다.

2002년 손베리는 《인테르 카에테라》가 훗날 스페인 정복자들이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자신들에게 적대감을 갖기 전에 읽어 준 레케리미엔토와 연계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레케리미엔토는 원주민을 정복하기 위한 전쟁을 하기 전에 평화적으로 복속할 것인지, 아니면 이를 거부할 것인지를 강요하는 문서였다. 하지만 이 문서는 대부분의 원주민이 알아들을 수 없는 스페인어로 읽혀졌기 때문에 유명무실한 문서나 다름없었다. 원주민들은 교황과 스페인 왕실의 권위를 받아들이거나 아니면 대항하다가 노예 신세가 되거나 양자택일을 해야만 했다.[120]

1993년 원주민법연구소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게 알렉산데르 6세가 반포했던 칙서 《인테르 카에테라》를 공식적으로 취소하고 이러한 불합리한 역사적 재난에 대해 원주민들에게 보상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하였다. 1994년에는 세계종교의회에서도 이와 비슷한 내용의 서한을 교황청에 발송하였다.[121]

6. 6. 말년과 죽음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무덤


알렉산데르 6세의 묘


티치아노의 그림, ''야코포 페사로가 알렉산데르 6세에 의해 성 베드로에게 소개됨''


알렉산데르 6세는 재위 말년에 체사레 보르자의 휘하 장수들과 오르시니 가문의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교황군은 반란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프랑스의 지원 약속으로 반란군은 체사레와 협상하게 되었다. 체사레는 배신자들을 처형하고 오르시니 추기경을 체포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했다. 이로 인해 오르시니 가문과 콜론나 가문의 세력은 약화되었고, 보르자 가문의 권력은 강해졌다.

한편, 나폴리 왕국을 두고 프랑스 왕국과 스페인 왕국 간의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알렉산데르 6세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쪽과 동맹을 맺을 준비를 하며 끊임없이 계략을 꾸몄다.

1503년 8월, 체사레 보르자가 새로운 군사 원정을 준비하던 중, 알렉산데르 6세는 아드리아노 추기경과의 만찬 후 체사레와 함께 열병에 걸려 쓰러졌다.[122] 체사레는 회복되었지만, 고령의 알렉산데르 6세는 회생 가능성이 희박했다. 요한 부르하르트의 일기는 알렉산데르 6세의 병세와 마지막 모습을 상세히 전하고 있다.[123] 1503년 8월 18일, 알렉산데르 6세는 72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알렉산데르 6세는 죽기 전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진심으로 뉘우쳤다고 전해진다.[124] 갈리폴리의 주교 알렉시스 첼라도니는 장례 미사에서 알렉산데르 6세의 회개를 언급했다.[125]

사도좌 공석 기간 동안 로마는 무정부 상태가 되었고, 폭동의 조짐이 보였다. 체사레 보르자는 교황의 재산을 압수하려 했으나, 시신이 빠르게 부패하여 공개되자 독살설이 퍼졌다.[126] 공식적인 사인은 말라리아나 그와 비슷한 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독살설도 제기되었다. 당시 로마 주재 페라라 대사의 서신에는 로마의 많은 사람들이 '나쁜 공기'로 인해 병에 걸렸다는 내용이 있어, 교황 부자의 발병이 놀라운 일이 아니라는 기록도 있다.

알렉산데르 6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소에 안치되었다가, 산타 마리아 인 몬세라토 델리 스파놀리 성당으로 옮겨졌다.[127]

7. 정부와 가족 관계

알렉산데르 6세는 여러 여인과의 사이에서 많은 자녀를 두었다. 그중 가장 오랫동안 관계를 지속한 정부는 1442년생 반노차 데이 카타네이였다. 두 사람은 1470년에 만나 후안 보르자(1474년생), 체사레 보르자(1476년생), 루크레치아 보르자(1480년생), 호프레 보르자(1481년 또는 1482년생) 등 네 명의 자녀를 낳았다.[51] 이들은 알렉산데르 6세의 자녀로 공공연하게 인정받았다.

반노차 데이 카타네이. 알렉산데르 6세의 정부 중 한 사람이며, 가타네이 백작 부인이다.


체사레 보르자. 알렉산데르 6세와 반노차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이다.


호프레 보르자. 알렉산데르 6세와 반노차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로, 스퀼라체 공작이다.


교황이 되기 전, 반노차에 대한 알렉산데르 6세의 열정은 식었고, 이후 반노차는 은퇴 생활을 하였다. 알렉산데르 6세의 사랑은 줄리아 파르네세가 대신 차지하게 되었다. 줄리아는 1492년에 라우라 오르시니를 낳았는데, 라우라가 알렉산데르 6세의 딸일 가능성이 높다.[53]

어머니가 누구인지 알려지지 않은 알렉산데르 6세의 또 다른 자녀로는 지롤라마 보르자, 이사벨라, 페드로 루이스 데 보르자가 있다.

8. 영향과 평가

알렉산데르 6세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그는 르네상스 시대 교황청의 부패와 권력 남용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지며, 족벌주의, 정적 숙청, 문란한 사생활 등으로 인해 역사상 최악의 교황 중 하나라는 혹평을 받는다. 실제로 그의 사후, 교황 율리오 2세는 "나는 보르자(교황 알렉산데르 6세를 가리킴)처럼 살지는 않을 것이다. 그는 거룩한 교회를 더럽혔으며, 악마의 도움을 받아 교황권을 탈취하였다."라고 말하며, 보르자 가문에 대한 언급을 금지하고, 그와 관련된 모든 기록과 그림을 지우도록 명령했다.[129] 보르자 아파트는 19세기까지 봉인되기도 했다.[82]

그러나 알렉산데르 6세에게는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인드로 몬타넬리 등 근현대 역사가들은 그가 프랑스와 스페인 같은 강대국의 침략 위협을 극복하고, 교황 율리오 2세가 달성한 교황령의 정치적 통합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한다. 또한, 종교 개혁의 흐름을 앞당겼지만, 가톨릭의 질서 유지에 힘썼다는 점도 인정받는다.

알렉산데르 6세는 예술의 후원자로도 알려져 있다. 도나토 브라만테, 라파엘로, 미켈란젤로, 핀투리키오 등 당대 유명한 예술가들이 그를 위해 로마에서 활동하며, 로마에 새로운 건축 시대를 열었다.[53] 특히 핀투리키오에게 사도 궁전의 특실들을 그림으로 채우도록 주문했는데, 이 방들은 오늘날 보르자 아파트로 알려져 있다.[131] 그는 연극에도 조예가 깊어 보르자 아파트에서 직접 희극 《메나에크무스 형제》를 연출하기도 했다.[85]

교육 발전에도 기여하여, 애버딘 대학교의 전신인 킹스 칼리지 애버딘 설립을 허가하는 교황 교서를 반포하기도 했다.[132][133]

또한, 알렉산데르 6세는 유대인들에게 비교적 온화한 정책을 펼쳤다. 1492년 알람브라 칙령으로 스페인에서 추방된 유대인들을 로마로 받아들여, 종교와 재산의 자유를 보장했다.[135]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저서 《교황》(Du Pape)에서 알렉산데르 6세가 다른 르네상스 시대 지도자들과 비교했을 때, 성직자라는 이유로 더 가혹한 비난을 받았다고 주장한다.[136]

알렉산데르 6세는 교황청 개혁을 추진하려 노력하기도 했다. 독실하고 능력 있는 인물들을 추기경으로 임명하고, 교회 재산 매각 제한, 성직자들의 도덕 규율 강화 등 개혁 법률을 제정했다.[130]

종합적으로 볼 때, 알렉산데르 6세는 부정적인 면모와 긍정적인 면모를 모두 가진 복합적인 인물이었다. 그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는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예술과 학문 후원, 외교적 업적, 교황령 수호 노력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9. 음란한 사생활

알렉산데르 6세는 여러 여인과의 사이에서 많은 자녀를 두었다. 그의 정부 가운데 가장 관계가 오래 지속된 여인은 반노차 데이 카타네이였다. 두 사람 사이에는 후안 보르자, 체사레 보르자, 루크레치아 보르자, 호프레 보르자 등 네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이들은 알렉산데르 6세의 자녀로 공공연하게 인정받았다.[139] 알렉산데르 6세는 반노차 외에도 줄리아 파르네세 등 수많은 정부를 두었고, 그 사이에서 16명의 사생아를 낳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친딸 루크레치아와 근친상간을 했다는 주장도 있으며, 루크레치아가 낳은 아들의 아버지가 알렉산데르 6세라는 주장도 있다.[139] 교황청에 매춘부들을 불러 난잡한 파티를 벌였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그는 가장 많은 매춘부를 상대한 남자를 골라 상을 주기도 했다. 이 시대에는 유럽 전역에 매독이 유행했는데, 교황과 그의 아들 체사레를 포함하여 교황의 정부들까지 매독에 걸렸다고 한다.[140]

참조

[1] 문서 Alexander VI Pontifex Maximus Borgia Valentinus
[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Alexander VI https://www.newadven[...]
[3] 논문 (페이지 번호 필요) 2017-05-00
[4]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George Bell
[5] 문서 Alexander VI Pontifex Maximus Borgia Valentinus
[6] 간행물 The Alexandrine Bulls of 1493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간행물 The Papal Division of the World and its Consequences
[8] 서적 Isabella: The Warrior Queen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4-10-28
[9] 서적 The New Century Italian Renaissanc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ppleton-Century-Crofts
[10] 논문 (페이지 번호 필요) 2017-05-00
[11]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014
[12]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13] 서적 Material for a History of Pope Alexander VI, His Relatives and His Time http://attomelani.ne[...] Desclée, De Brouwer 2011-12-22
[14]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15]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16]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17]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18]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19]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0]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1]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2]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3]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4]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5]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6]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7]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8]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29] 서적 Dizionario di Erudizione Storico-Ecclesiastica da S. Pietro sino ai nostri giorni https://books.google[...]
[30]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Papal elections – XV Century http://www2.fiu.edu/[...]
[31] 논문 (페이지 번호 필요)
[32] 논문 (페이지 번호 필요)
[33] 서적 Diaries 1483–1492 London
[34] 서적 The Borgias: history's most notorious dynasty
[35] 서적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10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79-09-26
[36] 서적 The Rise of Modern Diplomacy 1450–1919 https://books.google[...] Longman
[37] harvp
[38] harvp
[39] harvp
[40] harvp
[41] harvp 2017-05-00
[42] 웹사이트 What you don't know about the Borgia Pope: Alexander VI (1492–1503) http://www.thefreeli[...]
[43] harvp
[44] 문서 Alexander VI Pontifex Maximus Borgia Valentinus
[45] 서적 The Prince and Selected Discourses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46] 서적 Juan de Albret y Catalina de Foix o la defensa del Estado navarro (1483–1517) Pamiela
[47] 서적 Saint Peter and the Vatican: The Legacy of the Popes Art Services Intl.
[48] 웹사이트 How awful was Catholic life under those immoral Renaissance Popes! http://rorate-caeli.[...] Rorate Caeli 2014-03-25
[49] 성경
[50] 웹사이트 Dictionary: Sampietrini http://www.catholicc[...] Catholic Culture 2014-03-25
[51] 간행물 What You Don't Know About the Borgia Pope: Alexander VI (1492–1503)
[52] 서적 The Borgias: The Hidden History Bantam
[53] harvp
[54] 뉴스 NGV Solves Mystery of Renaissance Portrait https://www.ngv.vic.[...] NGV 2020-06-04
[55] harvp https://books.google[...]
[56] harvp
[57] 웹사이트 Encomienda or Slavery? The Spanish Crown's Choice of Labor Organization in Sixteenth-Century Spanish America http://www.latinamer[...]
[58] harvp
[59] 문서
[60] harvp
[61] harvp
[62] harvp
[63] 문서 Pope Fiction
[64] harvp
[65] harvp
[66] 서적 The Borgias Penguin
[67] 서적 Pope Alexander VI and His Court: Extracts from the Latin Diary of Johannes Burchardus https://archive.org/[...] N.L. Brown
[68] 간행물 The Dublin Review https://books.google[...] Thomas Richardson & Son
[69] 간행물 A Contemporary Oration on Pope Alexander VI
[70] 간행물 The Oration of Alexis Celadoni
[71] 서적 Material for a History of Pope Alexander VI http://www.attomelan[...]
[72] 서적 Alexii Celadeni Episcopi Gallipolitani Oratio ad sacrum cardinalium senatum ingressurum ad novum pontificem eligendum https://books.google[...] Rome: Johann Besicken
[73] 서적 Raiding Saint Peter: Empty Sees, Violence, and the Initiation of the Great Western Schism (1378) https://books.google[...] Brill
[74] 서적 https://books.google[...]
[75] 서적 Letters 31–60 https://books.googl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76] 서적
[7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opes, Vol. 6 https://archive.org/[...]
[78] 서적
[79] 서적 The Life of Cesare Borgia https://archive.org/[...] John Lane
[80]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G. Bell & sons
[81] 웹사이트 Paintings of a Pope http://www.thecathol[...] The Catholic Dormitory
[82] 서적
[83]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an international work of reference on the constitution, doctrine, discipline, and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https://books.google[...] Knights of Columbus Catholic Truth Committee 1907
[84] 서적
[8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opes, Vol. 5 https://archive.org/[...]
[86] 웹사이트 King's College: About https://www.abdn.ac.[...] University of Aberdeen 2020-06-20
[8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V https://www.uv.es/uv[...]
[88] 웹사이트 La Nau Building – Foundation of the Estudi General http://www.valencia.[...]
[89] 서적
[90] 서적 Carmina selecta Praha
[91] 서적
[92] 서적
[93] 웹사이트 Were the Borgias Really So Bad? https://www.historyt[...] 2013-10-01
[94] 서적
[95] 문서 이탈리아어 이름은 정확히는 볼자야 된다.
[96] 웹사이트 Pope Alexander VI https://en.wikisourc[...]
[97] 서적 The Borgias Granada
[98] 서적
[99] 서적 The New Century Italian Renaissance Encyclopedia http://books.google.[...] Appleton-Century-Crofts
[100] 웹사이트 http://www.nndb.com/[...]
[101] 서적 Material for a History of Pope Alexander VI, His Relatives and His Time https://www.google.c[...] Desclée, De Brouwer
[102] 서적 Vicars of Christ
[103] 서적 Dogs of God Anchor Books
[104] 서적
[105] 서적 Studies in Church History http://books.google.[...] F. Pustet & Co.
[106] 서적 Mallett
[107] 서적 The Meddlesome Friar
[108] 서적 de la Bedoyere
[109] 웹사이트 What you don't know about the Borgia Pope: Alexander VI (1492-1503) http://www.thefreeli[...]
[110] 서적 전제군주
[111] 서적 Saint Peter and the Vatican: The Legacy of the Popes Art Services Intl.
[112] 웹인용 How awful was Catholic life under those immoral Renaissance Popes! http://rorate-caeli.[...] Rorate Caeli 2014-03-25
[113] 웹인용 Dictionary: SAMPIETRINI http://www.catholicc[...] Catholic Culture 2014-03-25
[114] 웹사이트 Encomienda or Slavery? The Spanish Crown's Choice of Labor Organization in Sixteenth-Century Spanish America. http://www.latinamer[...]
[115] 서적 Stogre
[116] 서적 Black Africans in Renaissance Europe
[117] 서적
[118] 서적 Black Africans in Renaissance Europe
[119] 서적 Pope Fiction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The Borgias https://www.google.c[...] Penguin
[123] 서적 Pope Alexander VI and His Court: Extracts from the Latin Diary of Johannes Burchardus http://books.google.[...] N.L. Brown
[124] 서적 The Dublin Review http://books.google.[...] Thomas Richardson & Son
[125] 서적 Material for a History of Pope Alexander VI https://www.google.c[...]
[126] 서적 Sex Lives of the Popes Prion
[127] 웹인용 Pope Alexander VI (1431–1503) – Find A Grave Memorial http://www.findagrav[...] Findagrave.com 2013-06-23
[128] 웹사이트 Paintings of a Pope http://www.thecathol[...] The Catholic Dormitory
[129] 웹인용 Sex Lives of the Popes Prion
[130] 서적 Absolute Monarchs
[131] 서적 History of the Popes https://archive.org/[...]
[132] 웹인용 King's College, Aberdeen http://www.abdn.ac.u[...] 2014-04-08
[133] 웹인용 Taking a Look at Pope Alexander VI https://www.academia[...] 2014-06-29
[134] 서적 Constantine's Swor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35] 서적 Constantine's Swor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36]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an international work of reference on the constitution, doctrine, discipline, and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Volume 1 http://books.google.[...] Encyclopedia Press
[137] 서적 Mallett
[138] 서적 Mallet
[139] 서적 기독교죄악사 평단문화사
[140] 서적 책속의책2 우리문학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